발급받은 인증코드를 입력해주세요.
개인이 검사를 구입해 진행하시려면 다음 링크를 클릭하세요!
온라인 검사 구입 및 검사인간 중심의 상담을 통한 새로운 리더십② (김무영) 글쓴이 : KEEC 2012-08-27 11:54 |
인간 중심의 상담을 통한 새로운 리더십2 〈대령 김무영 순천향대 학군단장〉 순천향대 김무영 학군단장(대령)은 본연구소에서 한국형에니어그램 5단계를 이수한 전문강사로서 군기관에 한국형에니어그램과 상담을 보급하는 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인간 중심의 상담을 통한 새로운 리더십② 인생의 지침 발견하는 효율적 수단 장병들의 병영생활과 전투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구성원 간의 다각적 대화와 상담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자리잡고 있다. 특히 다원화되고 복잡한 사회, 군 구조에서 장병들의 확고한 집단 응집력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군 간부들이 인간 중심의 상담 기법을 이용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는 기풍이 조성되고 있다. 순천향대 학군단장으로 근무하고 있는 김무영 대령은 최근 이와 관련한 현실 인식과 상담의 중요성, 기법, 제언 등을 정리해 군 간부들과 교감하고 싶다며 글을 보내왔다. 김대령의 글을 3회에 나눠 게재한다. 〈편집자〉
상담은 내담자에 있어 정서적 고통으로부터 벗어나고 인생의 지침을 발견하며, 변화를 도모하는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효율적 수단이 된다. 더 나아가 내담자는 상담을 통해 건전한 인간관계나 내적성장, 실존의 문제, 가치 있는 기술 등을 배우고 경험하게 된다. 또 최근의 상담은 종전처럼 문제가 발생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찾아오는 내담자를 진단․치료해 주는 소극적 자세를 떠나 적극적으로 개인의 발달 과업 성취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함으로써 사전에 문제의 발생을 예방하는 동시에 대다수의 정상인들로 하여금 스스로의 힘으로 보다 나은 성장 발달을 촉진해 나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로 문제 예방 따라서 최근의 상담 활동은 "문제"를 가진 개인들의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내담자 자신을 이해하고, 자신의 삶의 목표를 설정하거나 생의 계획을 수립하는 등 여러 가지 과업을 성취하도록 돕는 활동으로 발전됐다. 여러 가지 상담 이론 중에 필자는 칼 로저스의"인간 중심적 상담"에 관해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인간 중심적 상담에서는 내담자의 성장 가능성, 자아 실현 경향성, 자기 지도력을 믿기 때문에 상담자는 지시적 태도, 권위적 입장, 분석적 자세를 지양하고 내담자와의 신뢰 있는 관계 속에서 내담자 자신이 각성하고 문제의 본질을 이해시킴으로써 결국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와준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인간 중심적 상담의 기법은 상담자의 인간됨, 상담 관계 그 자체가 중요시된다. 여기에서 상담 관계란 내담자의 문제나 생각․감정이 상담자에 의해 평가받고 해석되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 이해되고 수용되는 경험을 하게 되는 신뢰 있는 관계이기 때문에 내담자는 억압이나 왜곡 등의 방어 기제를 쓸 필요가 없어지게 되고 자유로이 자신을 노출하고 깊이 있게 자신을 탐색할 수 있다. 이러한 상담 관계를 가능케 하기 위해서는 공감적 이해,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진실성을 이해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먼저 공감(empathy)이란 상담자가 내담자의 생각․감정․경험에 대해 상담자 자신의 주관적 입장에서가 아니라 내담자 입장에서 듣고 반응하는 것이다. 그러니까 공감은 ‘타인의 입장에 서게 되는 것’ 또는 ‘타인의 눈으로 사물을 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따라서 최근의 상담 활동은 "문제"를 가진 개인들의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내담자 자신을 이해하고, 자신의 삶의 목표를 설정하거나 생의 계획을 수립하는 등 여러 가지 과업을 성취하도록 돕는 활동으로 발전됐다. 여러 가지 상담 이론 중에 필자는 칼 로저스의 "인간 중심적 상담"에 관해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인간 중심적 상담에서는 내담자의 성장 가능성, 자아 실현 경향성, 자기 지도력을 믿기 때문에 상담자는 지시적 태도, 권위적 입장, 분석적 자세를 지양하고 내담자와의 신뢰 있는 관계 속에서 내담자 자신이 각성하고 문제의 본질을 이해시킴으로써 결국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와준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인간 중심적 상담의 기법은 상담자의 인간됨, 상담 관계 그 자체가 중요시된다. 여기에서 상담 관계란 내담자의 문제나 생각․감정이 상담자에 의해 평가받고 해석되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 이해되고 수용되는 경험을 하게 되는 신뢰 있는 관계이기 때문에 내담자는 억압이나 왜곡 등의 방어 기제를 쓸 필요가 없어지게 되고 자유로이 자신을 노출하고 깊이 있게 자신을 탐색할 수 있다. 이러한 상담 관계를 가능케 하기 위해서는 공감적 이해,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진실성을 이해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먼저 공감(empathy)이란 상담자가 내담자의 생각․감정․경험에 대해 상담자 자신의 주관적 입장에서가 아니라 내담자 입장에서 듣고 반응하는 것이다. 그러니까 공감은 ‘타인의 입장에 서게 되는 것’ 또는 ‘타인의 눈으로 사물을 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내담자 입장에서 듣고 반응해야 다음으로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unconditional positive regard)이란 속으로든 겉으로든 판단적 행동을 보이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담자가 조사하거나 해석하지 않고 시인이나 부정하는 태도를 보임 없이 내담자를 전적으로 신뢰하며 수용하는 것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진실성․솔직성(genuineness) 혹은 일관성(congruence)은 상담자가 내담자와의 관계에서 나타내는 반응이 순간순간 그가 내적으로 경험하고 느끼는 바와 합치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상담자는 상담 관계 속에서 내담자에게 단순히 상담자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행동을 취하거나 "~체" 하지 않고 인간으로서의 자신의 모습을 진솔하게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이상과 같이 로저스의 인간 중심적 상담 이론을 간략히 소개했다.
〈대령 김무영 순천향대 학군단장〉 국방일보 - [2005년 03월 15일 기사] |
인간 중심의 상담을 통한 새로운 리더십① (김무영) 글쓴이 : KEEC 2012-08-27 11:48 |
인간 중심의 상담을 통한 새로운 리더십1 〈대령 김무영 순천향대 학군단장〉 순천향대 김무영 학군단장(대령)은 본연구소에서 한국형에니어그램 5단계를 이수한 전문강사로서 군기관에 한국형에니어그램과 상담을 보급하는 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인간 중심의 상담을 통한 새로운 리더십① 상담은 전투력 창출의 한 기법 장병들의 병영생활과 전투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구성원 간의 다각적 대화와 상담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자리잡고 있다. 특히 다원화되고 복잡한 사회, 군 구조에서 장병들의 확고한 집단 응집력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군 간부들이 인간 중심의 상담 기법을 이용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는 기풍이 조성되고 있다. 순천향대 학군단장으로 근무하고 있는 김무영 대령은 최근 이와 관련한 현실 인식과 상담의 중요성, 기법, 제언 등을 정리해 군 간부들과 교감하고 싶다며 글을 보내왔다. 김대령의 글을 3회에 나눠 게재한다. 〈편집자〉
상담, 리더십 영역으로 이해해야 일부 사람들은 상담을 필요로 하는 사람, 즉 내담자를 환자나 문제를 가진 부적응자로 보고 병을 치료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상담을 단순히 개인 면담의 수준에서 애로 사항을 파악, 피상적으로 조치하는 것 등으로 인식하다 보니 상담의 근본적인 성격과 의미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그러다 보니 상담 분야의 전문적 이론이나 기술에 대한 세밀한 연구가 부족했고, 특히 전문 요원 양성에는 관심을 두지 못했다. 그리고 일부에서는 상담 활동이 사고를 예방하는 것으로만 인식하고 접근하다 보니 지엽적이 되고 영속성 있는 업무가 되지 못한 것 또한 사실이다. 따라서 사고 예방 차원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조직 목표에 기여할 수 있는 인간관계의 상호 작용에 따른 인간의 성장으로 전투력 창출의 한 기법으로 인식해야 한다. 그리고 과거 비교적 단순하고 변화가 없었던 전통 사회에서 파생된 대부분의 문제들은 자신의 힘으로 쉽게 해결될 성질의 것이었으나 현대 사회는 과거 세대가 경험하지 못한 다양한 삶의 난제가 발생해 상식적인 충고나 조언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됐다. 또 집단의 역동적 대인 관계가 고지식하고 개방적이지 못해 원만한 인간 상호 관계가 유지되지 못한 것도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군에서도 개인이나 집단의 응집력을 제고하기 위해 리더십의 실제적 영역으로서의 상담을 이해해야 함은 물론 상담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감정 탐색 통해 긍정적 변화 유도 먼저 상담은 영어로 돕는다는 차원에서 헬핑(helping), 돕는 사람을 헬퍼(helper)라한다는 의미에서는 카운슬링(counseling), 카운슬러(counselor)라고 하는데 학자들마다 상이하게 사용하고 있다. 개인 상담이란 것이 무엇인가. 상담은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을 탐색하고 통찰해 자신의 인생에 긍정적 변화를 만들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활동이다. 이러한 목표를 이루고자 상담자와 내담자는 합동으로 작업하는데 상담자는 변화 과정을 촉진시키며 내담자는 무엇을 어떻게 변화하고 싶은 것인지 결정한다. 〈대령 김무영 순천향대 학군단장〉 국방일보 - [2005년 03월 05일 기사] |
모든 존재의 경이로움 (양재오) 글쓴이 : KEEC 2012-08-27 11:48 |
모든 존재의 경이로움 by Ralph Marston / 양재오 옮김 존재(存在)하는 그 모든 것의 경이(驚異)로움을 경탄(驚歎)해 본 적이 있나요? 아주 작은 사물들을 지켜보며 그것들이 어떻게 완벽하게 서로 잘 어울려 일을 도모하는지 경탄하며 바라본 적이 있나요? 그 모든 가능성에 대하여 생각해 보고 그것들이 비록 한계(限界)가 없을 때라도 어떻게 매순간 그렇게 증식하고 성장할 수 있는지 생각해 보기 위해 멈추어 서 본 적이 있나요? 불가해(不可解)한 힘에 의하여 가을에 나뭇잎이 나풀나풀 떨어지고 그 힘이 나뭇잎을 봄에 다시 돋게 할 때 경이로운 적이 있나요? 밀려오는 파도(波濤)를 바라보고, 그런 다음 그 너머로 수면(水面)이 하늘과 맞닿은 저 먼 수평선(水平線)을 바라 본 적이 있으며, 당신 면전(面前)에 펼쳐진 광대한 공간이 실재(實在)하는 것 가운데 그저 작은 귀퉁이에 불과하다는 것을 깨달은 적이 있나요? 상상할 수 없이 거대한 것으로 여겨질 수 있는 존재하는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며, 그것은 여전히 존재할 수 있는 모든 것의 작은 한 귀퉁이이라는 것을 이해하나요? 모든 기쁨과 고통을 넘어 그리고 그보다 더할 수 없이 희망이 없을 때도 어떻게 사랑은 여전히 그렇듯 살아있을 수 있는지 경탄해 본 적이 있나요? 무거운 돌을 들어올리느라 애쓴 적이 있나요, 그리고 어떻게 힘들이지 않고 평원에 수천미터 높이의 거대한 산이 솟을 수 있는지 경탄한 적이 있나요? 당신이 얼마나 알 수 있는지, 당신이 얼마나 많은 경이로움을 체험할 수 있는지 상관없이, 늘 그리고 언제나 그 이상으로 알고 체험할 수 있다는 것을 당신은 깨달은 적이 있나요? 당신이 왜 경이로워하는지 그리고 당신이 그것을 정의내릴 수 없을 때도 왜 당신이 아름다움을 아는지 그것에 대하여 경이로운 적이 있나요? 경이로운 일을 하는 이, 당신의 눈을 통하여 찾고 있는 이, 그리고 그 모든 것에 대한 경이로움으로 온전히 제 집에 있는 듯 평온함을 느끼는 이를 보고 경이로워 한 적이 있나요? 당신이 믿는 것이 무엇이든, 당신이 고백하는 것이 무엇이든, 당신이 의심하거나 두려워하거나 희망하는 바가 무엇이든, 그 모든 것이 경이로움이라는 것을 당신이 용인(容忍)하고 당신 자신이 알게 할 때, 당신의 마음이 부인(否認)할 수 없는 무언가가 있습니다. ---------------------------------- The Wonder of It Allby Ralph Marston Do you ever wonder At the wonder of it all? Do you ever stand in awe of the tiniest things and how perfectly they work together? Do you ever stop to think about all the possibilities and how even though they have no limit they grow in number with every minute? Do you ever wonder when the leaves flutter down in autumn at the incomprehensible power of life that brings them back in spring? Do you watch the waves roll in and then look out far beyond them where the water seems to touch the sky and realize that the vast expanse before your eyes is only a small little corner of all there really is? And do you comprehend that all there really is, as unimaginably grand as it may seem, is only a smaller corner still of all that there can be? Do you ever wonder how love can stay alive past every pleasure and every pain and even when there can be no hope there is more than ever? Do you ever struggle to lift a heavy rock and wonder how a massive mountain can rise thousands of feet above the plain without even trying? Do you ever realize that no matter how much you may know, no matter how many wonders you may have experienced, there will always, always be more? Do you ever wonder why it is you wonderand why you know what beauty is even though you can't define it? Do you ever wonder who is doing the wondering, who is looking out through your eyes and feeling completely at home with the wonder of it all? Whatever you believe, whatever you profess, whatever you doubt or fear or hope for, there are some things your heart cannot deny when you let go and let yourself know the wonder of it all. Copyright ⓒ 2003 Ralph S. Marston, Jr. NOTE: The poem used in this presentation is from Ralph Marston's latest book, "Living the Wonder of It All." + 출처 http://wonderofitall.com/ 2004.5.25. 석탄일 전야 소개 및 우리말 옮김: 양재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