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급받은 인증코드를 입력해주세요.
개인이 검사를 구입해 진행하시려면 다음 링크를 클릭하세요!
온라인 검사 구입 및 검사CEO는 ‘아침형 인간’ (정남구) 글쓴이 : KEEC 2012-08-27 11:30 |
CEO는 ‘아침형 인간’ 상의, 최고경영자 200명 조사 필요 덕목 “결단력” 43% 꼽아 국내 기업의 최고경영자(CEO)들은 대체로 ‘아침형 인간’이며, ‘성실하고 정직한 부하직원’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존경하는 최고경영자로는 고 정주영 현대 명예회장을 꼽았다. 22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기업 최고경영자 200명을 대상으로 최근 설문조사를 해 발표한 자료를 보면, 최고경영자들은 59.2%가 “오전 5~6시 사이에 일어난다”고 대답했다. 6~7시 사이에 일어나는 사람은 29.2%였고, 5시 이전에 일어나는 사람도 8.3%나 됐다. 선호하는 부하직원 유형에 대해서는 ‘성실하고 정직한 사람’을 꼽은 경우가 65%로, ‘업무처리가 뛰어난 사람’(32.5%)보다 더 많았다. ‘지시에 잘 따르는 사람’을 선택한 최고경영자는 한 사람도 없었다. 최고경영자에게 필요한 덕목을 묻는 질문에는 ‘결단력’(43.3%)을 가장 많이 들었고, 이어 ‘성실성’(22.5%), ‘도전정신’(17.5%), ‘친화력’(10.8%), ‘카리스마’(1.7%) 차례였다. 자신의 성격에 대해서는 ‘내성적’(35.9%)이라는 대답이 ‘외향적’(19.1%)이란 대답보다 많았으며, ‘중간적’이라는 대답이 45%로 가장 많았다. 가장 존경하는 최고경영자로는 고 정주영 현대 명예회장(24.2%), 고 이병철 삼성 회장(21.7%), 이건희 삼성 회장(9.2%), 고 유일한 유한그룹 창업자(5.8%) 차례로 대답했다. 한편, 자신의 회사가 순식간에 위기를 맞아 경영난에 처할 수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물음에는 10%가 ‘매우 그렇다’, 70%가 ‘그렇다’고 대답해, 경영자로서 긴장이 적지 않음을 내보였다. 그럼에도 자식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직업으로 기업가(48.3%)를 가장 많이 들어, 최고경영자들은 자신의 직업에도 자긍심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가 다음으로는 교수·교사(13.3%), 과학자(10.8%), 의사(7.5%), 언론·방송인(4.2%) 차례였다. 정남구 기자 jeje@hani.co.kr |
웃는 얼굴 (양재오) 글쓴이 : KEEC 2012-08-27 11:29 |
웃는 얼굴 어제 저녁에 찰리와 함께 몇 번 들른 적이 있는 와잇플레인즈(White Plains)의 보더즈(www.borders.com) 서점에 들러서 시간을 죽이다가, 결국 수피 심리학 관련 서적 한권과 함께 틱낱한(Thich Nhat Hanh) 의 강연을 한권의 책으로 묶은 BEING PEACE 를 들고 나왔다. 지난 밤에 곧바로 잠도 오지 않고해서, 틱낱한의 것을 한 시간 여 읽다가 잠이 들었다. 그의 글 첫마디는 삶이 고통으로 채워져있다는 수행자(불교승려) 로서의 기본 통찰을 전제하면서도, 그 삶은 또한 경이로움으로 가득채워져있다는 현상도 적시한다. 그러면서 평화 운동가로서 평화롭고 행복한 삶은 바로 나 자신의 작은 미소로부터 시작된다는 점을 설득력 있게 들려준다. 평화는 그 작은 미소의 경이로움으로부터 시작된다는 듯이. 좀 늦은 잠자리였지만, 평온하게 잠들수 있었다. 아침마다 한 방 건너에 있는 작은 채플에서 빅터(Victor Marshall)와 함께 미사에 참여하곤 하는데, 오늘 아침에 들은 것은 마태오(마태) 복음서에 나오는 한 부분이었다. 목자가 잃어버린 한 마리 양을 찾기 위하여 아흔아홉 마리를 놔두고 한 마리 양을 찾으러 나섰다가, 기어코 찾아낸 뒤, 그 찾았을 때의 기쁨을 전해주는 이야기. 그리고 그에 앞서 어린아이와 같이 되지 않으면 하늘나라에 들어갈 수 없다는 말씀. 위로가 되는 말씀이다. 그 말씀을 듣고, 잠시 뜸을 들이다가, 서로 나누기를 하였다. 특히 어린이와 그들의 천진난만, 그리고 티 없이 맑은 그들의 웃음, 그리고 또 그 천진난만함을 잃어버린 불쌍한 어른들에 대해서도. "웃는 얼굴에 침 뱉으랴."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봤음직한 우리나라 속담이다. 요즘도 이런 속담이 자주 쓰이는지 모르겠으나, 웃는 얼굴이나 미소는 참 좋다. 혹시 지금도 기억하는 분이 계실지 모르겠다. 70년대쯤으로 기억되는데, 한 때 우리나라에서 스마일 운동을 전개했던 적이 있다. 새마을 운동처럼 그것도 하나의 운동(!)으로서 전개되었다. 예전에 나는 가수 한명숙, 문주란 그리고 박재란, 김상희 누나들을 좋아하는 어린이였는데, 그 분들 중에서 어느 분이 한 번 나왔다 하면, '노란셔츠 입은 사나이'를 아주 시원스럽고도 멋지게 불렀다. 그 분이 한명숙 누나 였던가? 아무튼, 그 때문에 한 때, 나는 노란 셔츠를 즐겨 입고 다녔는데, 이른 봄 노란 색으로 사람들의 마음을 환하게 해주는 개나리꽃처럼 밝은 노란색 셔츠 왼쪽 가슴에다가 양철판을 이용하여 동그랗게 얼굴 형상을 본 뜬 위에다가 미소를 머금은 제법 큼지막하고 아주 단순한 스마일 캐릭터/엠블램을 달고 다녔다. 비교적 수줍음을 잘 타는 편임에도 불구하고, 그것만큼은 보란 듯이 달고 다녔던 기억이 지금 되살아난다. 팍팍한 세상살이에 긴장하고 피곤하게 사는 사람들도 어린아이를 좋아하고, 또 그들이 즐겁게 떠들어 대며 웃는 모습을 볼 때, 잠시나마 각박한 세상사의 시름을 잊을 수 있다. 그들도 한 때는 어린이였다. 나는 어린이의 웃음과 미소에 분명히 치유하는 힘이 있다는 것을 조금도 의심하지 않는다. 즐거운 순간, 그 즐거움을 아무 꾸밈없이 있는 그대로 유쾌하게 웃음소리에 담아내는 어린이의 얼굴. 수줍을 때는 그 수줍음을 수줍은 낯에 그대로 드러내며, 멋쩍어 하는 그 얼굴. 어린아이의 표정은 꾸밈이 없다. 그 꾸밈없음이 바로 그들의 매력이다. 이런 꾸밈없는 얼굴과 웃음 띤 표정은 가끔 나이 지긋한 할머니 할아버지의 얼굴에서도 피어난다. 그들의 웃음과 미소에는 그 어떤 적의나 음모, 꾸밈이 없다. 그들은 그럴 필요를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면, 다른 어른들은 웃을 줄도 미소 지을 줄도 모르는가? 아니다. 그들도 때로는 어린이들처럼, 그리고 아이들과 함께 잘 웃고 멋진 미소를 지을 줄 안다. 그러나 그들의 웃음이나 미소가 마치 배우들의 그것처럼 그럴듯해 보이지만, 어떤 경우에 그 웃음이나 미소의 뒷면에는 그 어떤 전략이나 음모가 숨겨져 있기도 하다. 가끔 신문이나 방송에 얼굴 가득 웃음을 머금고, 서로 반가운 듯이 손을 잡고 흔들어 대며(악수), 기자들 앞에서 멋진 포즈를 취하는 이들을 우리는 얼마나 자주 목격하는가? 경쟁하는 사회에 편입된 이들에게 얼굴/표정 관리는 아주 중요한 일일 수 있다. 그 관리를 잘하느냐, 못하느냐에 따라서 이른바 사회적 성공과 실패가 좌우되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오늘 천진난만한 어린이가 성장해 가면서 기성세대/어른들로부터 학습 하는 것 가운데 하나가 바로 꾸민 웃음/미소이다. 곧 상대를 압도하기 위하여 거만한 얼굴표정에서 흘러나오는 웃음과 미소, 상대의 선처를 기대하며 자신을 낮추는 비굴해보이기까지 하는, 그래도 살기 위하여 어쩔 수 없이 취하는 그런 억지로 꾸민 웃음이나 미소/얼굴표정 말이다. 그 때의 그 꾸밈은 참으로 절실한 것일 게다. 그 분들께 힐난보다는 동정이 간다. 이 경쟁사회에서 살아야 하니까. 빅터는 지금 칠십 줄에 들어선 분인데, 그가 오늘 아침에 말한다, 자신은 어린아이들과 노는 것이 좋다고. 아이들과 함께 놀 수 없을 때는 그들이 노는 모습을 즐겨 지켜본단다. 얼마 전에 아이들이 잔디 위에서 야구놀이를 즐겁게 하는데, 아이들은 그 놀이 자체를 무척 즐기는 것 같더란다. 그런데, 그 뒤에서 아이들의 몇몇 부모가 경기를 지켜보며 응원을 하고 있는데, 그들은 아이들의 놀이 자체보다는 승부에 더 관심을 갖더란다. 그런 그들은 아이들이 더 경쟁적이 되고, 그래서 자기 아이가 속한 팀이 그 경기 - 이 때는 더 이상 놀이가 아니라 싸워서 반드시 이겨야하는 경쟁이 되는 것 - 에서 이기도록 부추기는 것이다. 우리 아이들은 이렇게 자라고 있다. 어제까지는 아무런 이해관계 없이 동무들과 함께 노는 자체를 즐기며, 해맑은 웃음을 짓던 어린이들이 그들의 부모, 기성세대들이 주조한 사회에 적응(?)하는 훈련을 해 나가도록 요청받는다. 물론 어린이들도 짓궂은 웃음을 짓기도 하고, 또 그들 나름대로 머리를 짜내어 다른 친구들을 골려주기도 하지만, 그것은 어른들의 그것과는 질적으로 다른 것이다. 어린이들이 비록 경쟁하는 사회의 어른이 되는 과정에서 그들의 어린이다움을 잃어버리도록 하는 도전을 받고, 부득이 경쟁하는 이 사회의 현실을 외면할 수 없어서 그 요구에 길들여져 갈수밖에 없을지라도 어린시절의 천진난만함과 그 꾸밈없는 웃음을 그들의 가슴에서 마저, 지워버리지는 않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경쟁하는 사회에 사는 이들은 무엇을 꿈꾸며 살까. 그들도 실은 그곳으로부터 탈출하고 싶을 것이다. 내가 꿈꾸는 하늘나라 - 이상 국가는 더 이상 경쟁할 필요 없이 함께 뒹굴며 순진무구함에서 우러나오는 해맑은 얼굴을 서로 마주보며 사는 것이다, 마주보며 웃는 두 얼굴 사이에 아무런 너울이 없는. 그 곳에 참 평화가 있지 않을까. (2002/08/14 뉴욕 아시닝에서 양재오) |
신성이라는 이름의 사랑 (KEEC) 글쓴이 : KEEC 2012-08-27 11:28 |
신성이라는 이름의 사랑 ♡ 우리가 사랑이라고 여기는 것은 서로에 대한 끌림입니다. 그러나 서로에 대한 끌림은 서로에 대한 밀어냄을 동반합니다. 끌림과 밀어냄의 메커니즘을 이해 하는 데는 지구의 이원성과 양극성을 이해 해야 합니다. 흔히, “필링이 왔다.” “ 강렬한 끌림이 왔다” 그래서 “사랑에 빠졌다” 라고 합니다. 이런것이 사랑이라고 생각하면 엄청난 착각입니다. 사랑은 불이 들어왔다가 나갔다 하는 전구 같은 것이 아닙니다. 사랑은 어느날 갑자기 생겼다가 그 다음 날 갑자기 사라지는 그런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사랑이 아니라 감정입니다. 그럼, 사랑이란 무엇일까요? 사랑이란 어떤 생각이나 행동에 국한 되어있는 것이 아닙니다. 사랑이란 자신을 통하여 자신의 주변에 일어나도록 허용된 에너지 입니다. 사람의 원래의 본성은 신성한 사랑 입니다. 하나의 육신이 다른 육신을 보살피는 것을 사랑으로 생각 해서는 안됩니다. 사랑이란 그렇게 제한 되어 있는 것이 아닙니다. 사랑은 근원적으로 부여 받은 본연의 자질 입니다. 사랑으로부터 모든 존재는 창조 됩니다. 우정이든 사랑이든, 사랑할 때가 있으면 사랑이 식을 때도 있다고 얘기하는 것은 잘못 입니다. 이렇게 왔다가 사라지는 사랑은 자신의 에고에 근거를 둔 감정이지 사랑이 아닙니다. 서로 사랑하는 사이에서 상대방에게 자신의 목숨까지도 아깝지 않다는 느낌을 가진 사랑을 하다가도, 자신에게 무엇인가 오기를 기다린 것이 실현되지 않으면 ‘사랑이 식었다’라고 합니다. 이렇게 서로 기대감 속에 매달리는 것은 사랑이 아닙니다. 영원한 사랑은 생겨났다가 상황에 따라서 사라지는 것이 아닙니다. 변함없이 늘 있는 것, 알아보기 쉬운 것, 숨기지 않는 것, 간단한 것, 서로 믿는 것, 어린아이같이 순수한것, 모든것을 아는 통찰력, 이런 것이 바로 참사랑 입니다. 사랑은 처음부터 완전한것이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 사람들도 신성이라는 사랑을 알때, 그때 비로소 완성, 자아실현(수퍼에고)의 고지에 다다른 것입니다.^^* 오늘도 사랑으로 빛나십시요.* 진주 총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