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급받은 인증코드를 입력해주세요.
개인이 검사를 구입해 진행하시려면 다음 링크를 클릭하세요!
온라인 검사 구입 및 검사한국형에니어그램 전문강사 1단계, 2단계 훈련 온/오프 동시 진행 글쓴이 : KEEC 2024-04-21 10:11 |
한국형에니어그램 전문강사 1단계, 2단계 훈련 온/오프 동시 진행
2024년 3월 09-10일 전국에서 오신 각계각층의 지도자들이 참여하여 천안시에 위치한 사단법인 한국에니어그램인성연구원 및 zoom 온라인 프로그램 내에서 ‘한국형에니어그램 전문 강사 훈련 1, 2단계 ’ 온/오프 동시 교육 과정을 수료하였다. 전문 강사 훈련 교육은 한국형에니어그램 전문 강사 자격의 최종 과정으로, 한국형에니어그램 1단계 및 2단계 교육에 대한 학문적 토론과 직접 강의 시연을 통해 참가자들의 평가와 지도 교수의 슈퍼비전으로 진행되어 전문 강사로서의 자질 함양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국에니어그램교육연구소의 박진윤, 황임란 전임교수의 지도하에 진행된 한국형에니어그램 전문강사 1단계 및 2단계 훈련은 한국형에니어그램 전문강사들의 자질을 향상하고 효과적인 교수법을 숙지함으로써 전문강사들이 진행할 1단계 및 2단계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1단계와 2단계 교육과정의 내용의 이해와 내적체계의 이해와 강의 훈련의 훈습의 시간을 가졌다.
|
(사)한국에니어그램인성연구원, 충청남도 아산교육지원청과 [학교장 변화: 성장 리더십] 도서 기증 협약식 글쓴이 : KEEC 2024-02-25 21:10 |
(사)한국에니어그램인성연구원, 충청남도 아산교육지원청과 [학교장 변화: 성장 리더십] 도서 기증 협약식 사단법인 한국에니어그램인성연구원(이사장 윤운성)은 충청남도 아산교육지원청(교육장 박서우)과 2024년 2월 21일 오후 2시 아산교육지원청에서 [학교장 변화: 성장 리더십] 도서 기증 협약식을 가졌다. 협약식에는 한국에니어그램인성연구원 윤운성 이사장과 김새한별 사무국장, 아산교육지원청 박서우 교육장, 가경신 전 천안교육지원청 교육장이 참석하였으며 90권의 도서가 전달되었다. 기증협약식에서 윤운성 이사장은 이번 도서 기부를 통해 ‘다함께 성장하며, 지역사회와 교육계의 발전을 위해 함께 할 수 있어 행복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도서는 아산 관내 각급 학교장에게 배포될 예정이며 기증한 (사)한국에니어그램인성연구원의 자매 기관인 한국에니어그램교육연구소 출판사 “내안의 거인”에서 출간된 도서로 저자 가경신의 40여년간의 지난 교직 경험들을 통해 성공적인 학교 변화 방법들을 이야기하고 있어 교육계의 인식을 확장시키는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사)한국에니어그램인성연구원, 천안교육지원청과 [학교장 변화: 성장 리더십] 도서 기증 협약식 글쓴이 : KEEC 2024-02-25 21:09 |
(사)한국에니어그램인성연구원, 천안교육지원청과 [학교장 변화: 성장 리더십] 도서 기증 협약식 공익 사단법인 한국에니어그램인성연구원(이사장 윤운성)은 천안교육지원청(교육장 박종덕)는 2024년 2월 14일 오후 2시 천안교육지원청에서 [학교장 변화: 성장 리더십] 도서 기증 협약식을 가졌다. 협약식에는 한국에니어그램인성연구원 윤운성 이사장과 천안교육지원청 박종덕 교육장, 가경신 전)교육장을 비롯한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협약식에서 전달된 150권의 도서는 (사)한국에니어그램인성연구원의 자매 기관인 한국에니어그램교육연구소 출판사 “내안의 거인”에서 출간된 도서로 저자 가경신은 이전 교직 경험들을 통해 성공적인 학교 변화 방법들을 이야기하고 있다. 윤운성 이사장은 “도서 기증 협약식 통해 교육 현장에 계시는 선생님들의 업무와 성장에 도움이 되어 선생님들의 행복에 증진하여 교권신장에 기여하고, 궁극적으로 천안지역내 학생들의 행복한 학교문화가 건설되었으면 좋겠다”라고 밝혔다. 1999년 설립된 교육부 소관 공익 사단법인 한국에니어그램인성연구원은 상담을 통한 인성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개인과 사회, 각 집단의 위기와 갈등을 해결하는 카운슬러 역할을 통해 따뜻하고 건강한 사회건설을 이룬다는 설립목적을 이루기 위해 한국에니어그램교육연구소와 더불어 한국형에니어그램 지혜를 바탕으로 하여, 상담봉사, 교육봉사, 지역 봉사, 공익활동가 지원 등 공익적 활동 전개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초·중·고등학교 및 대학은 물론 기업 현장에 이르기까지 개인은 물론 조직의 건강과 행복에 기여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