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급받은 인증코드를 입력해주세요.
개인이 검사를 구입해 진행하시려면 다음 링크를 클릭하세요!
온라인 검사 구입 및 검사영화와 에니어그램 : 에비타, Evita(2) 글쓴이 : KEEC 2019-05-24 18:04 |
영화와 에니어그램 : 에비타, Evita(2)
에비타, Evita(1996) - Don't cry for me Argentina..., You Must Love Me - Main Themes: Ambition, Seduction, Privilege: her moments and some style Maria, prima donna, Basic fear / Desire, Populism You Must Love Me, Fantasy of the bedroom and a saint, EVE, Mother 2번 조력자: 사랑 받기를 원한다면 사랑스러워라. 2번 유형은 사랑 받지 못한다는 두려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랑 받기를 원하는 욕망을 가지게 되며 다른 사람들을 도와주는 행동을 하게 된다. 하지만 이것이 지나칠 때는 결국 교만이라는 열정을 보인다. 2번 유형의 남을 도와주면서 교만하는 열정이 SP와 결합하게 되면, 타인을 도와줬기 때문에 특별한 대우와 인정을 받아야 한다는 “특권”을 추구하게 된다. SE와 결합하게 되면, 내가 타인을 1:1로 가장 잘 도와줄 수 있는 사람이기 때문에 친밀해야 한다는 “유혹”적인 모습이 나타난다. SO와 결합하게 되면, 세상의 모든 사람을 도울 수 있다고 믿고 그들을 모두 도와 내가 사랑 받는 위치에 이르러 존경을 얻고자 하는 “야망”이 나타난다. ▶ 자기 보존적 : “특권(privilege)” 이들은 자신을 위한 여지가 남겨져 있지 않을 것을 두려워하여 줄 서기를 싫어한다. 그래서 계략을 써서라도 줄의 맨 앞에 선다. 자기보존적 2번 유형은 다른 사람을 돕는 것에 대해 교만한 마음을 가지며, 자신이 독립적이라 생각하고 남에게 도움을 청하는 것을 부끄러워한다. 이들의 교만함은 생사가 걸린 문제와 같이 자신의 위치가 흔들릴 때 증폭된다. 자아가 없는 것 같은 이러한 느낌은 인정 욕구나 보호 욕구를 억압한다. 특권에 대한 욕구는 다른 사람들이 특권에 반응하지 않을 때 드러난다. 이들은 남을 위해 일하면서도 자신을 위해서는 직접 나서지 않는다. 이것은 개인적 경쟁의 압력을 줄여주고 실패나 공적인 자리에서 창피함에 대한 위험을 없애준다. 다른 사람이 성공하는 데 도움을 주었을 때 약간이라도 대우 해주길 바란다(봉사에 대한 인정, 유명 인사 소개, 영화관에서 가장 좋은 자리 등). 즉 “내 등 긁어주면 네 등도 긁어줄게”라고 생각한다. ◑나는 다른 사람들에게 베풀고 헌신하고 희생한다. 그러나 그것에 대해 카드나 선물 같은 감사의 표시를 되돌려 받지 못할 때가 많다. ◑나는 나 자신을 소중히 여긴다. 그리고 나는 가끔 아주 특별한 식사를 하거나 쇼핑을 즐기거나 특별한 휴가를 갖거나 그밖에 사치를 나 자신에게 허용한다. ◑나는 필요보다 더 많은 돈을 쓸 때가 있다. 그러나 언제나 그것을 정당화할 수 있다. ◑나는 내가 어리고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느낄 때가 많지만 다른 사람을 돕고 강한 사람으로 행동함으로써 그런 마음을 덮어 버린다. ◑내 배우자가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하도록 돕는 것은 나를 만족시킨다. 그리고 그것은 내 자신이 중요하다는 느낌이 들도록 해준다. 그리고 배우자를 돕는 일은 내가 내 일에서 실패하는 것에 대한 걱정을 덜어 준다. ◑나는 내가 다른 사람에게 베풀었기 때문에 특별한 대우를 받아야 한다고 느낄 때가 있다. ▶ 성적(개인적) : “유혹(seduction)” 이들은 다른 사람들을 자신에게 끌어들이고 유혹하기 위하여 매력적으로 행동한다. 성적하위유형의 2번 유형은 다른 사람들과 접촉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다가간다. 남의 관심사, 취미, 흥미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채택하고 지원함으로써 사람을 유혹한다. 이러한 점들 때문에 이들은 매우 매력적인 파트너가 된다. 이들은 다른 사람들이 그들을 친구나 연인으로 느끼는 것에서 긍지를 가진다. 성적 하위 유형의 2번 유형들은 자신만의 매력으로 다른 사람들의 말을 경청하면서 관계를 발전시킨다. 이들은 다른 사람을 기분 좋게 하고, 특별함을 느끼게 하여 기쁨을 주는 사람이며 믿음이 가는 동반자로 ‘최고의 친구’다. 이들은 사랑하는 사람이나 사업 동반자를 쫓아가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원만한 인간관계를 이룬다. 쫓아갈 사람을 정하여 계속해서 그 사람을 유혹한다. 이러한 유혹과 추적은 이들이 남자이거나 여자이거나 마찬가지다. 재미있게도 이들은 가끔 친밀감을 형성하기 위해 모르는 사람에게도 접근한다. ◑나는 내가 좋아하는 것을 쫓는다. 이것은 내 삶의 다른 면에서뿐만 아니라 인간관계를 맺는 방식에도 적용된다. ◑내가 다른 사람에게 먼저 접근하지 않으면 나는 잊혀지거나 무시될 지도 모른다. ◑나는 내가 관심 있는 사람들을 유혹하기 위해서 많은 기교를 익히려고 노력한다. ◑나는 깊은 관계를 갈망한다. 그러나 나는 경험을 통해서 이런 친밀한 관계에서는 내 자신을 잃게 된다는 것도 안다. ◑나는 종종 부적절하고 내게 도움이 되지 않는 사람을 선택해서 관계를 맺는다. 그리고 이것은 내가 갖고 있는 공포를 직면하지 않도록 해준다. ◑나는 때때로 내가 개선시키고 변화시킬 수 있고, 상대방의 능력을 끌어낼 수 있는 사람을 배우자로 선택한다. ◑나는 다른 사람을 쫓아다니는 것을 좋아한다. 일단 그 사람을 내 것으로 만든 다음에 내가 정말 그를 좋아하는지를 생각해 본다. ▶ 사회적 : “야망(ambition)” 이들은 소속감, 보호, 정체성을 위해 힘 있는 사람과의 교제를 탐색한다. 이 교제는 집단 내에서 그들의 위상을 보장해 준다. 이들은 사회적 야망이 있기 때문에 그들이 누구인지 드러나는지 어느 위치로 보이는지에 관심이 있다. 이들은 자신의 성취, 명예, 전문적 자격, 공적 이미지, 사회적 위치에 긍지를 가진다. 이들은 성공하는 사람을 도와주거나 뛰어난 사람들에게 끌린다. 인기 있는 사람들과 유명한 사람(부자, 사업 리더, 지역 인사)들과 가까워지기를 원하며 그들에게 필요한 사람이 되어 자신의 야망을 이룬다. 이들은 게임의 법칙을 쉽게 배우고 흐르는 대로 쉽게 따라간다. 이들은 약간의 분위기 변화에도 민감하며 자신의 위치를 지키기 위해 적응한다. 특히 이들은 꼭 필요한 사람이라는 칭찬을 받기 원한다. 하지만 칭찬받을 이유가 없는 사람에게 인정받으면 분개한다. ◑나는 다른 사람의 삶에 영향을 주는 것을 좋아한다. ◑나는 중요한 역할을 찾는다. 나는 리더가 되거나 힘있는 리더의 참모가 되는 것을 좋아한다. ◑금방 눈에 뜨이는 일은 나를 불안하게 만든다. 만약 내가 실패하면 무척 당황스러울 수도 있기 때문이다. ◑나는 인정받는 것을 갈망하며 내가 가진 친절하고 따뜻한 성품이나 전문적인 지식이 높이 평가받기를 원한다. ◑나는 매력적이며 밝고 자신감과 에너지가 넘치고 남을 잘 대접하는 것으로써 인정받으려고 노력한다. ◑나는 `네가 아니었으면 나는 이런 일을 해낼 수 없었을 거야' 같은 나를 인정해 주는 칭찬을 받기를 좋아한다. ◑나는 내 파트너나 상관의 성공을 갈망한다. 그러나 그들이 막상 성공하면 허탈하여 화가 난다. 하위유형의 모습으로 살아가는 우리의 본능적 행위에 대한 정복으로의 길은 균형과 조화에 있다. 우리가 우리의 선호된 하위유형을 찾을 때, 생존 기제를 통합 쪽으로 향하게 하고, 우리의 기본적 성격 유형이 가지고 있는 강박적이고 파괴적인 요소를 분해하여 자유스럽게 한다. |
영화와 에니어그램 : 에비타, Evita(1) 글쓴이 : KEEC 2019-04-25 10:56 |
영화와 에니어그램 : 에비타, Evita(1) 에비타, Evita(1996) - Don't cry for me Argentina..., You Must Love Me - Main Themes: Ambition, Seduction, Privilege: her moments and some style Maria, prima donna, Basic fear / Desire, Populism You Must Love Me, Fantasy of the bedroom and a saint, EVE, Mother 에니어그램은 각 유형마다 생존에 대한 근본적인 두려움을 가지고 이 두려움에 따른 9가지 성격의 다양성이 결정된다고 본다. 각 사람이 가지고 있는 두려움은 생존에 대한 욕망을 만들어 내며, 이 욕망은 더욱 더 자신의 본질적인 모습보다는 자신의 성격의 왜곡된 모습으로 사람을 살아가게 한다. 다시 말하면 사람은 유한한 존재로 삶에 대한 애착을 가진다. 모든 사람들은 생존을 위해 몸부림치며 살아간다. 사람의 궁극적인 ‘두려움’은 ‘죽임’이다. 사람마다 죽음을 느끼는 방식이 다르며 죽음에 대한 원초적 두려움은 우리가 살아남고자 하는 생존의 ‘욕망’을 만들어낸다. 생존에 대한 강한 욕망은 우리 안에 있는 신성한 모습을 왜곡시키고 이 왜곡된 신성한 모습을 마치 자신의 모습인 것처럼 착각을 하고 살아가게 되며 삶을 절망하며 마치 주인 잃은 마차처럼 삶을 질주하게 된다. 우리가 에니어그램을 공부하는 목적은 자신의 두려움을 알아내고, 자신이 만든 욕망의 집착에서 벗어나서 본질적인 자신의 모습을 찾아가는 것이다. 2번 유형의 사람들은 조력가라 불리며, 남을 위하고 대인관계를 존중하는 유형이다. 이들은 가슴 중심의 사람들 중에서 자신의 이미지를 타인을 도와주는 모습으로써 표출하게 된다. 이들의 생존의 문제, 즉 본질적인 죽임에 대한 두려움은 그들 스스로가 ‘사랑 받지 못하는 존재’라는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 즉, 이들은 타인에게 사랑 받지 못하면 죽을 것이라는 본질적 두려움을 가지고 살아간다. 따라서 이들의 생존에 대한 욕망은 타인으로부터 ‘사랑 받고자 하는 욕망’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들이 사랑 받기 위해 자신의 이미지를 타인에게 도움을 줌으로써 다른 이들에게 사랑을 받으려는 모습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욕망을 가지고 살아가는 2번 유형의 사람들은 감정이 풍부하고 성실하고 따뜻한 마음을 지녔다. 또한 다정하고 친절하며 자신을 희생시키기를 잘하고 대체로 사려 깊고 타인들과 가까워지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자기 자신 앞에 있는 사람에게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들이다. 따라서 자신 앞에 있는 이들에게 항상 좋은 점을 이야기하며 관심을 끌기도 한다. 또한 잘못하면 남들이 자신을 필요로 하기를 원해서 일부러 도와주기도 한다. 하지만 자신이 타인을 도와줌에 대하 다른 이들이 별로 고맙게 여기지 않을 때 스트레스를 받게 되며, 자기 자신과 가족보다는 타인에 대해 집착함으로써 자신의 필요를 자각하는 것이 어렵다. 조력, 즉 남을 도와주는 행위는 좋은 모습이다. 하지만 2번 유형들이 남을 도와주는 자신의 이미지에 대한 집착에 빠지게 되면 결국은 그 도움을 통해 다른 이들은 자신의 틀 안에 두려고 하는 소유욕이 생기게 되고 모든 사람들은 자신의 도움 없이는 살아갈 수 없다는 교만한 마음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2번 유형이 건강하게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교만하지 않고 겸손한 마음을 가지고 타인을 배려하는 모습을 가질 때 이들은 아름다운 삶을 살아가게 된다. 하위 유형(생존 본능) 에니어그램은 각기 다른 성격들의 작용을 보여주는 복잡한 모델이다. 에니어그램의 9가지 각 유형은 우리의 가장 기본적인 생존 본능에 뿌리를 둔 세 가지의 타입으로 다시 분류되어 다양한 삶의 방식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 3가지 하위 유형은 살아있는 생명체는 모두 가지고 있는 당신이 선호하는 생존기제(survival mechanism)로서 각 유형은 살아가면서 자기보존 (우리의 개인적 생존), 성적 (우리가 일대일 상황에서 어떻게 생존하고 상대하는지), 사회적 (단체, 지역, 사회 등에서 어떻게 우리가 생존하고 관계하는지) 하위 유형의 모습을 갖게 된다. 시간이 지나면서 우리는 이 중 특별히 하나를 선호하게 되고, 나머지 둘은 이것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첫 번째는 생존문제 적응에 가장 우세하고, 두 번째는 부차적 중요성을 가지며 세 번째는 보통 무시된다. 하위유형은 또한 같은 유형인 사람들을 비교하는 데 유용하다. 하위유형 행동은 흔히 더 일반적인 유형 반응에 우세하기 때문에, 하위유형은 성격에 미묘한 차이를 주고 27 가지의 성격 스타일을 구분할 수 있게 한다. (a) 자기-보존 하위유형(self-preservation subtypes)은 매일 매일의 생존에 관심이 있다. 그들은 보통 방어적이고, 조심스럽고, 자족적이고, 개인적이다. 그들의 예지능력은 예측하지 못한 수요나 재난에 대처할 수 있는 충분한 자원을 가지고 있다. (b) 성적 하위유형(sexual subtypes)은 사적이고 일대일 관계에 관심이 있다. 그들은 보통 힘이 있고, 경쟁적이며, 집중적이다. 그들은 특별한 사람으로부터 사랑을 받거나 적어도 관심을 받는 데 열중한다. (c) 사회적 하위유형(social subtypes)은 단체나 지역 관계에 관심이 있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사람들과 함께 있는 것을 좋아하며 그들을 통해 자극 받기를 좋아한다. 사회적 이슈는 그들이 전체 사회의 일부라는 것을 깨닫게 한다. 우리가 가진 유형의 본질을 벗어났을 때 우리는 닫힌 사고와 격앙된 감정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모습은 우리의 삶 속에서 생존을 위한 본능적인 모습인 하위유형의 모습으로 표출되게 된다. 즉, 2번 유형의 경우 유형의 본질적인 모습인 타인에게 연연하지 않는 자유로운 사고와 겸손한 마음을 갖게 되면 세 개의 생존 본능이 균형을 이루는 모습을 가지고 타인에게 대가 없이 베푸는 삶을 살아가게 되지만 2번 유형의 모습이 왜곡되어 아첨하는 생각과 교만한 마음을 가지게 되면 삶 속에서의 2번의 교만한 마음은 타인에게 관심으로 묶어두려 하며(개인적-유혹), 타인에게 베풀고 나서 대가를 바라게 되며(자기 보존적-특권), 다른 이들에게 영향을 주려 하는(사회적-야심) 모습으로 나타나게 된다. |
영화와 에니어그램 : 오페라의유령(9) 글쓴이 : KEEC 2019-03-24 19:22 |
영화와 에니어그램 : 오페라의유령(9) 오페라의 유령, The Phantom of the Opera(2004) - The Music of the Night , the prison of my mind, You are not alone. - Main Themes: Mask, Loneliness, Angel of Music, Guide and guardian 1:1, darkness, shelter, freedom, Point of No Return the dungeon of my black despair, the prison of my mind 오페라의 유령 영화 속 상징 Monkey 원숭이는 뻔뻔스러움, 몰염치, 호기심, 나쁜 장난 비천한 본능을 상징한다. 눈, 귀, 또는 입을 손으로 가린 세가지 신비의 원숭이는 ‘악을 보지 않고, 악을 듣지 않고, 악을 말하지 않는 것을 상징한다. Mist 안개는 착오와 혼란의 상태를 나타낸다. 영혼은 안개의 어두움과 고난을 통과해서 정신적 광명에 도달한다. Mirror 거울은 진리, 자기인식, 지혜, 정신, ‘우주의 거울’로서의 영혼, 초자연적이고 신적인 지성의 반영, 신의 진리의 밝게 빛나는 표면, 태양과 달과 별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최고의 知를 상징한다. 거울에 비친 영상은 현현세계이자 인간의 자기인식이다. 거울은 태양의 원반, 천공, 빛으로서 태양에 속하며, 동시에 밝은 빛을 내는 달빛이라는 의미에서 달에도 속한다. 거울은 마력을 가지며, 거꾸로 전도된 세계로 들어가는 입구이다. 거울은 진실을 비추어 거짓을 폭로한다. 악은 자신을 알 때 자기 자신을 죽인다. Mask 가면은 보호, 은폐, 변신, 비존재를 뜻하며 다른 것과의 합일을 나타낼 수도 있지만, 자기 동일을 나타내기도 한다. ‘가면을 쓴 군중’ 속에 매몰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고 역으로 특정한 가면을 씀으로써 자기 동일성을 확립한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聖劇에서 사용되는 가면은 여러 얼굴로 나타나는 신의 초자연적인 힘을 상징한다. 일반적인 연극에서 사용되는 가면은 평상시에 외면적 인격으로 가려지는 내면적 성격을 상징한다. 동물이나 새의 가면은 인간의 마음이 동물이나 새와 통합되는 것, 낙원상태의 회복을 나타낸다. 또한 이런 종류의 가면은 인간이 배울 수 있는 동물의 본능적 지혜, 받아들일 수 밖에 없는 자신 속의 동물성을 나타낸다. Cave 동굴은 우주의 상징, 세계의 중심, 자기(self)와 자아(ego)가 합일 하는 장소이다. 동굴은 신성과 인간성이 만나는 곳이기도 하다. 동굴은 감추어진 지식, 숨겨진 것을 상징하며, 제 2의 탄생을 의미한다. 이니시에이션의 의례는 동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재생과 광명에 앞선 죽음으로서의 명계와 분묘가 동굴에 의해서 상징되기 때문이다. 동굴로 들어가는 것은 자궁으로서의 회귀, 동들을 빠져 나가는 것은 사회적 신분의 변화를 의미한다. 사회적 신분의 변화는 위험한 힘을 극복했을 때에 성취할 수 있다. 동굴은 어둡고 환영만이 보이는 현실세계를 가르킨다. 유령의 사랑 우리는 경험을 통해 사랑이 무엇인지 알고 사랑에는 여러 종류가 있음을, 각 각의 사랑이 어떻게 다른지도 안다. 하지만 사랑이란 것을 겪어보지 못한 팬텀 은 사랑이 무엇인지 알지 못한다. 그가 아는 것은 단지 'LOVE'라는 네 글자뿐 이다. 그의 사랑이 광기나 집착으로 보이는 것은 그 때문이다." (브래드 리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