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EC 소식지

에니어그램 컬럼

HOME - KEEC 소식지 - 에니어그램 컬럼
에니어그램의 분석적 고찰과 과제 1(윤운성) 글쓴이 : KEEC   2012-08-27 10:31
에니어그램연구 Journal of Enneagram Studies 2004.Vol.1, No.2, pp.9-32 2004년도 한국에니어그램학회 연차학술 대회 회장 기조논문 I. 분석적 고찰로서 에니어그램 II. 성격유형으로서 에니어그램 III. 영성으로서 에니어그램 IV. 건강한 사회를 위하여

에니어그램의 분석적 고찰과 과제

윤운성(선문대 상담산업심리학과/한국에니어그램학회장/한국에니어그램연구소장)

본 논문은 2004년 한국에니어그램학회 연차학술대회를 개최하면서 에니어그램의 역사적 배경을 분석적으로 고찰하고, 국내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한국에니어그램의 정체성을 재확인함으로써, 에니어그램을 통한 건강한 자아발견과 나아가 건강한 사회건설을 위한 발전적인 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I. 분석적 고찰로서 에니어그램

에니어그램은 BC 2500년 전 발생하여, 15-16C경 이스람교 수피(sufi)파에 의해 구전으로 내려오다가, 구르지에프(1872-1949)의 모스크바 서클(Moskva Circle)의 신비적 상징론과 Ichazo의 아리카연구소(Arica, 1970)의 성격유형론으로 발전하여 오늘날의 에니어그램 모형으로 정립되었다(윤운성, 1998).

구르지에프에 의하면, 에니어그램은 초심리학적 문제, 생사, 영원, 시간, 우주, 차원 등의 철학적 문제를 3법칙과 7법칙으로 포괄하여 부분에서 전체를 보는 것이 아니라 전체에서 부분을 보는 비전과학(秘傳esoteric science)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가 집필한 문헌이 거의 없다. 그러나 확인할 수는 없지만 그의 제자들이 쓴 문헌을 종합해 볼 때, 최초의 지능검사가 출현하게 된 배경(Terman, 1916)이 그러하듯이 구르지에프도 정상인과 비정상인 간의 차이에 따른 성격적 특징을 구분한 것으로 에니어그램의 출발선을 찾은 것으로 추측된다. 이는 체격을 중심으로 한 독일 정신의학자 Kretchemer(1888-1964)의 체격론(마른형, 비만형, 근육형)과 미국 의사 Sheldon의 체격론(내배엽형-내장긴장형, 중배엽형-신체긴장형, 외배엽형-대뇌긴장형) 등의 유형들이 개인의 특성을 기술(described)할 뿐만 아니라 각 개인의 질병 가능성을 예언하는 기초가 된 것과 같은 맥락이 아닌가 생각된다(윤운성, 2004c; Amelang & Bartussek, 1990).

같은 시대에 살았던 Ouspenskey는 3년 반 동안 구르지에프와 함께 작업(work)를 하면서 그를 인간의 속마음을 꿰뚫은 탁월한 심리학자로 기술하고, 그에게 구전받은 신비우주론과 인간내적 진화에 대한 시스템이론에 심취 하였다(Ouspenskey, 1950). 그러나 후에 오스펜스키와 구루지에프는 결별하게 되는데, 의식을 준수해야한다는 종교적 형식에 대한 저항과 내적 갈등이었다(김현수, 1999). 이에 대해 필자는 에니어그램의 본질을 깊이 이해하기 위한 영성의 구체적 개념을 본고의 중반에서 논의하려고 한다.

그 후 오늘날의 유형론으로 발전하게 된 것은 이카조의 공헌이라 할 수 있다. 이카조는 구르지에프의 3법칙과 7법칙을 통합하여 9유형의 근간을 만들면서, 그리스 정교, 불교, 카발라, 힌두교, 신화, 서구 신비주의로부터 에니어그램을 통합하였다. 그 후 그로부터 사사받은 Naranzo가 심리적 해석을 곁들이기는 하였지만 에니어그램은 종교적인 측면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이는 에니어그램이 구전으로 내려옴으로써 유형에 대한 이론적 설명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점과, 인간심리를 연구의 대상으로 보기보다는 체험과 경험으로 체득해야 하는 종교적 신념이라는 것에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국내에도 종교적인 전통으로 카톨릭의 예수회에서 인간성장의 도구로 신학교에서 가르치기 시작했으며 이는 이카조의 아리카연구소의 예수회에서 실천적으로 사용한 것이다(박종영, 1992; 이정순, 1990; 이화순, 1992, 윤운성, 2003b).

필자가 2002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Riso와 Hudson을 만나 확인한 바에 의하면, 현대적 의미의 에니어그램의 과학적인 체계화는 리소와 허드슨의 헌신적 노력이 한 몫을 했다. 프로이드, 융, 호니, 프롬, 기타 현대의 심리학자들의 관점을 통합하여 에니어그램을 종교적인 측면보다 심리적 관점으로 정립하려는 연구가 이미 1975년경에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iso,1990; 1996; Riso,& Hudson,1999). 리소는 남미계통의 우람한 체격에 자유분방하고 예술적 창의성을 가진 4번 유형으로 방대한 연구가 가능했으리라 추측되며, 그와 지금까지 13년 동안 함께 연구한 5번 유형의 Hudson의 탐구와 통찰이 합쳐져 에니어그램의 체계화와 정교화로 이어졌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에니어그램에 대한 열정과 애정은 리소의 말처럼 ‘종교적인 것도 아니고 또한 심리학적인 것만도 아닌 영적 적응력을 가진 폭 넓은 성격심리학’이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에니어그램의 본질은 필자가 미국유학시절인 1994년도에 그의 저서를 접한 이래 한국형 에니어그램의 발전을 위해 노력한 이유이기도 하다. Mischel이 지은 650쪽 분량의 ‘Introduction to Personality(6판, 1999)’의 방대한 내용을 포함하고도 남는 심오한 내용이었다. 필자의 관심과 많은 연구후에 많은 성격검사들이 정신측정학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삶을 자각하고 의미있는 삶에 도전하려는 사람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심리학의 본연의 임무를 못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에 1998년 리소의 책 ‘성격을 알면 성공이 보인다’ 이후 10여권의 에니어그램 관련 저역서를 출간하면서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흔히 에니어그램의 통계학 그룹(김현수, 1999; 우재현, 1999)으로 일컬어지는 6번 유형인 Helen Palmer는 panel을 통한 구전전통을 워크삽에 적용하면서 특히 명상을 통한 영적 접근을 하고 있다. 필자가 본 그녀에 대한 첫 인상은 매우 편안해 보였으며, 많은 명상을 통해 영적 이미지가 나타나고 있었다. 그녀를 통계학적 그룹이라 함은 그의 제자이자 현재 동료인 Stanford대학의 정신의학과 교수였던 장난끼 있는 6번유형인 David Daniels가 많은 임상실험을 통한 통계학적 결과를 성격유형분석에 도입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필자가 워크삽을 참석하면서 느낀 바는 끊임없는 명상과 더불어 구전해설적 접근(the oral narrative approaches)으로 자신을 관찰하고 삶의 존재와 의미를 깨닫게 하는 방법이었다.

현재 한국에니어그램교육연구소의 5단계 프로그램 중 4단계 이후에 실시되는 심화단계과정과 마지막 5단계과정의 일부는 리소와 팔머의 방법을 수용하여 필자가 통합적으로 구조화한 프로그램이다.

에니어그램의 분석적 고찰을 종합하면, 에니어그램은 철학적 배경으로 출발하고 종교적 측면에서 활용되고, 오늘날 과학적인 심리학의 영향을 받아 인간행동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주어 다학문적인 접근과 통합으로 발전하게 된 동서고금의 지혜의 덩어리라 할 수 있다.

제 2장 성격유형론으로서 에니어그램 에서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