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EC 소식지

에니어그램과 영화

HOME - KEEC 소식지 - 에니어그램과 영화
김씨표류기 - 글 / 소희정 전임교수 글쓴이 : KEEC   2015-11-19 14:56

김씨표류기

2009


글 소희정 전임교수




도심을 바로 앞에 두고 섬에 홀로 갇힌 남자 김씨

가족들과 함께 살아가고 있지만 자신의 방에 갇혀 있는 여자 김씨.
남자 김씨는 여자의 바깥세상에 있고 여자 김씨는 남자의 바깥세상에 있다.
이들이 속해 있는 세상과 이들이 바라보는 세상은 정 반대이지만 이 둘에게 바깥세상은
두려우면서도 나가고 싶은 곳이라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죽고 싶었던 남자 김씨 |

살고 싶다는 욕망에 무릎을 꿇고, 모래사장에 쓴 HELP가 HELLO로 바뀌게 된다. 무인도에서 홀로 야생의 삶을 살아가도 괜찮다고 느낄 무렵에 익명의 쪽지가 담긴 와인 병을 발견하고
그의 삶은 알 수 없는 희망으로 설레기 시작한다.


컴퓨터를 통해서만 세상과 소통하는 여자 김씨 |
다른 사람들의 미니홈피에서 가져 온 사진이 마치 자신인 듯 사이버 세상에 올려놓고 댓글로 자신의 존재를 확인받고 싶어 하는 세상에 낯선 모습이 들어오게 된다. 그리고 지구를 찾아온 외계인이라 확신한 그에게 리플을 달아주기로 하고 3년 만에 자신의 방을 벗어나 야밤에 한강 밤섬에 와인 병을 던져주게 되는데 가상 세계에서만 살아가는 여자 김씨의 삶은 일종의 가짜의 삶 즉, 살아있지만 죽어 있는 삶이라는 것을 대변해주고 있다. 이렇게 한 평 방에 갇혀 있는 외톨이를 히키코모리라 할 수 있는데 도시에서 고립된 주인공 남자 김씨와 히키코모리인 여자 김씨는 소통 부재의 상태에 빠진 소외된 현대인들의 모습을 은유하고 있다.
인본주의 심리학자였던 매슬로우(Maslow)는 인간의 욕구는 타고난 것이고, 욕구의 강도와 중요성에 따라 5단계로 나뉜다고 하였다. 1단계 생리적 욕구, 2단계 안전에 대한 욕구, 3단계 애정과 소속에 대한 욕구, 4단계 자기존중의 욕구, 5단계 자아실현의 욕구이다. 영화 속 주인공 남자 김씨는 무인도에 불시착하자 인간의 욕구인 가장 1단계인 먹고 마시는 생존 욕구, 즉 짜장면을 만들어 먹는 것에 집착하게 된다. 1차 욕구가 어렵게 충족이 되고 나니 오리 배라는 자신만의 집을 갖게 되고, 3단계의 욕구인 소속과 사랑받고 관심 받고 싶어 하는 소통 욕구까지 느끼게 되며 빈 오뚜기라고 적힌 깡통과 허수아비로 친구를 만들기도 한다. 옥수수를 따고 반죽을 해서 드디어 짜장면을 만들어 먹는 것을 통해 자아실현의 경험을 하게 된다.
영화<김씨 표류기>와 아주 비슷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영화<캐스트 어웨이>가 있다. 주인공 톰 행크스는 비행기 사고로 무인도에 불시착하여 4년을 홀로 지내게 되는데 이런 <로빈슨 크루소>류의 영화는 아무도 없는 곳으로 도피하고 싶은 것도 인간의 로망이고, 다시 사람들 속에 편입되고 싶어 하는 것 역시 인간의 로망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무인도에 불시착한 주인공 영화 속 김씨처럼 처음에는 먹고 사는 문제에 매달리지만, 이것이 해결되자 배구공에 자신의 피로 얼굴을 만든 다음 윌슨이란 이름의 친구를 삼고 혼자서라도 스스로에게 소통을 하려고 한다. 아마 영화 김씨표류기가 아주 보편적인 인간을 상징하는 ‘김씨’라는 성을 쓴 것도 이러한 보편적인 인간의 동기와 그 위계, 그리고 그 위계를 통해 진화하는 인간의 모습에 관해 이야기하려 했던 것 같다.
남자 김씨가 붉은 사루비아 꽃을 맛보고 눈물을 흘렸을 때처럼 여자 김씨는 어느 집 담벼락 가로등불 아래 하얗게 피어있는 정체 모를 아름다운 붉은 꽃나무에 눈물을 흘리게 되는데 처음으로 엄마에게 말을 걸고, 인스턴트 옥수수 캔에 진짜 옥수수 씨앗을 심자 여자 김씨의세상이던 가상의 세계도 점차 진짜로 바뀌게 되고, 인스턴트 그린 자이언트 옥수수가 진짜 옥수수가 되고, 오뚜기 깡통 허수아비, 가짜 오리 같은 두 사람은 진짜 오뚜기처럼 진짜 백조처럼 다시 일어서게 된다.
결국 살아있다는 것은 호기심이 있다는 것이고 무엇인가 궁금해 질문한다는 것은 들숨과 날숨을 쉬고 있다는 것이다. 마치 도심 속 외계인과도 같았던 두 김씨는 어쩌면 우리네 지독한 고독과 외로움을 블랙유머로 감싸 안은 것처럼 보인다. 김씨 표류기속 실날같은 타인과의 소통이야 말로. 지금 우리에게 당장 필요한 삶의 양식이 아닌가 여겨진다.

살아있다는 것은
파도처럼 끝없이 몸을 뒤집는 것이다.
내가 나를 사랑하기 위해 몸을 뒤집을 때마다
악기처럼 리듬이 태어나는 것이다.
-문정희의 ‘살아 있다는 것은’-


생각해보기
이 세상에서 단 한명과 소통이 가능하다면 누구와 소통을 하고 싶나요?
여자 김씨가 유일하게 창문을 여는 건 1년에 단 두 번, 세상이 멈추는 민방위 훈련 날인데, 내가 만약 여자 김씨라면 단 두 번 여는 세상에서 무엇을 보고 싶나요?
아무도 없는 무인도에 혼자 있다면 어떻게 살아갈 수 있을까요?